<OSMU & 스토리텔링>(김종회...엮음) > 디지털 문예이론

본문 바로가기

디지털 문예이론

<OSMU & 스토리텔링>(김종회...엮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차민기 댓글 0건 조회 21,839회 작성일 12-05-22 19:32

본문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징후, 스토리텔링......그리고 '디카시'
 
 
  'OSMU'란 'One Source Multi Use'의 줄임말이다. 말뜻에서 알 수 있듯이 하나의 근원적 이야기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문화, 혹은 그런 현상을 두루 일컫는 말이다.
  인쇄 매체의 이야기만 주로 소비하던 근대 시민 계층이 다른 매체를 넘나들며 변화하는 이야기들을 즐기고 있다. 이제 문학은 영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만화 등의 장르와 뒤섞이며, 그 됨됨이를 다양하게 드러내 보이는 시대를 만났다. 수백 년 동안, 끊임없이 이야기를 지어올리는 작가들은 있어왔고, 그 이야기 전통의 바탕 위에서 문학은 이제 모든 이야기 매체들에 영감과 소재와 주제를 줄 수 있는 가장 근원적 샘터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문학은 위기도 아니고, 죽은 것도 아니다.
   좋은 문학은 많은 장르에 옮겨진다. 황순원의 <소나기>는 그 대표적인 본보기다. 국민소설로 불리는 이 작품은 그동안 영화, 드라마, 연극, 뮤지컬, 애니메이션, 심지어 테마파크로까지 그 터무니를 넓혀 놓고 있다.
  이처럼 문학은 영상 매체의 가장 뚜렷하고도 중요한 스크립트로 그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 책은 황순원의 <소나기>가 어떻게 인접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는지를 여러 본보기를 통해 드러내 보인다.
 
'OSMU'로서의 디카시
   문화콘텐츠 관련 학계에서는 요즈음을 일컬어 'OSMU' 계발의 시대로 이름짓고 있다. 그만큼 스토리 텔링의 쓰임새가 중요함을 깨닫고 있다는 뜻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스토리 텔링은 '서사' 중심으로 그 터무니를 넓혀오고 있다. 내다보건대, 머지 않아 이것은 우리 삶의 거의 모든 영역으로 그 촉수를 뻗어 올 것이다.
  지금 우리가 온몸으로 밀고 가는 이 '디카시' 운동은 지금까지 이야기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스토리 텔링을 '서정'의 영역으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선행적 운동이 될 것이다. 이것이 과거 한 때의 '구체시 운동'이나, 최근의 '포토포엠'과 뚜렷하게 나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다시 말해 디카시는, 이미 만들어진 문화담지체를 시의 영역으로 끌어오는 수동적 문화운동이 아니라, 디카시를 하나의 OSMU로 하여 우리 삶의 모든 영역으로 그 터무니를 펼쳐나가는 적극적 문화 운동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