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 제7회 디카시작품상 수상작 > 공지사항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공지사항

2021 제7회 디카시작품상 수상작

작성일 21-04-29 11:49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em 조회 36,544회 댓글 0건

본문


2021 제7회 디카시작품상 수상작 



우주


bfc6dc6d1c1b9c9102c3b6cda4eb19fe_1619664475_3823.jpg
 


저 둥근 감방에 서로의 부리를 가두고

 

제발 날개가 돋지 않기를 기도하던 때가 있었다




수상자 김규성 시인


2000현대시학등단

시집 고맙다는 말을 못했다, 신이 놓친 악보, 시간에는 나사가 있다

산문집 산들내 민들레,

송순문학상 우수상 수상

 



<심사평>


상투성을 뒤집는 디카시의 힘

 

 

2004년 무렵, 이상옥 교수를 중심으로 시작된 디카시 운동이 근 20년 가까이 지속되면서 그 대중적 저변을 크게 확대하였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각종 디카시 공모전이 계속 이어지고 있고, 시민들의 반응도 점점 뜨거워지고 있다. 중요한 것은, 언제부터인가 기성 시인들도 디카시 운동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것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미디어 환경의 급격한 변화 속에서 쇠락의 길을 걷던 시 장르는, 이제 디카시를 매개로, 대중들을 기반으로, 시인들을 전위로 하는, ‘예술(문예)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계간 <디카시>는 이런 운동의 중심에서 매년 디카시 작품상을 운영해왔고, 이번이 벌써 일곱 번째이다.

 

까다로운 예심을 거쳐 본심에 올라온 여러 시인의 작품들은, 디카시의 문법을 이해하는 단계를 훌쩍 넘어서 디카시 고유의 장르적 매력을 뿜어내는 높은 수준들을 보여주었다. 본심에 오른 작품들이 모두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훌륭했지만, 그중에서도 우리는 김규성의 우주에 주목했다. 김규성은 사진이 보여주는 일반적이고도 평균적인 정서(스투디움 studium)를 뛰어넘어, 작가만의 고유한 정동(情動)을 찌르는 우연, 바르트(R. Barthes)에 의하면, 일반성의 의도와 계획을 벗어나는 상처이자 찔린 자국”, 즉 푼크툼(punctum)을 읽어낸다. 사진의 동그라미는 일반적(평균적)으로 통일성, 부드러움, 완성 등의 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 안에 마주 보고 있는 한 쌍의 새는 통상 행복, 사랑의 스투디움으로 읽힌다. 그러나 김규성 시인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인 의미소를 갖는 동그라미()에서 감방이라는 부정적 푼크툼을 끄집어내고, 서로 사랑하며 내미는 것처럼 보이는 새의 부리를 그것에 갇힌 것으로 읽어낸다. 일반적인 정서가 날개가 상징하는 자유를 당연한 것으로 읽어낼 때, 김규성은 반대로 그것에서 제발 날개가 돋지 않기를 기도하던 때의 처절한 상처를 잡아낸다. 가뜩이나 짧은 디카시의 형식을 역으로 이용하여 단 두 행으로 그는 순식간에 상투적인 스투디움에 구멍을 내고 독특한 상처의 푼크툼을 생산한다. 디카시는 예술이므로 (다른 예술과 마찬가지로) 상투성과 반복은 디카시의 적이다. 뻔한 사진에서 뻔한 스투디움을 읽어내는 것은 예술로서의 디카시가 할 일이 아니다. 이런 점에서 김규성 시인은 디카시의 문법과 기능과 효과를 정확히 포착하고 있다. 김규성 시인의 제7회 디카시 작품상 수상을 축하드린다. 외롭고 고단한 글쓰기의 길이 늘 화창하기를 빈다.

 

  

심사위원: 김종회(평론가), 오민석(평론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52943]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성내로 142-3 2층 한국디카시연구소. 대표전화 : 055-673-2496.

PC 버전으로 보기